일요일 오후, 현재 온도 35도. 푹푹 찐다. 에어컨을 틀어도 집 안 공기는 영 시원찮다. 결국 가족들 데리고 스타벅스에 가서 이 더위를 피할 계획이다. 이렇게 숨 막히는 폭염 속에서는 정말 '어떻게 해야 살아남을 수 있지?'라는 생각이 절로 든다.
나처럼 35도를 웃도는 폭염에 지친 사람들을 위해, 더위를 피하고 시원하게 여름을 보낼 수 있는 다양한 현실적인 방법이 뭐가 있을라나...
1. 폭염 속 실내 피서: 역시 에어컨 빵빵한 곳 찾기!
한낮의 뜨거운 햇볕을 피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에어컨이 빵빵하게 나오는 실내 공간으로 피신하는 것이다.
1.1 카페 및 대형 쇼핑몰: 가족들과 스타벅스로 피신 갈 예정인 것처럼, 카페는 더위를 피하기 좋은 대표적인 장소이다. 시원한 음료와 함께 편안한 분위기에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대형 쇼핑몰이나 백화점도 좋은 선택이다. 다양한 매장을 구경하며 시간을 보내고, 시원한 푸드코트에서 식사를 해결할 수 있다.
1.2 도서관 및 미술관: 에어컨이 잘 나오고 조용한 도서관이나 미술관도 좋은 피서지이다. 시원한 환경에서 독서를 하거나, 다양한 예술 작품을 감상하며 문화생활까지 즐길 수 있다. 무료인 곳도 많아 부담이 없다.
1.3 영화관: 시원하고 어두운 영화관은 더위를 피하며 시간을 보내기에 최적의 장소이다. 최신 영화를 보며 잠시나마 현실의 더위를 잊을 수 있다.
1.4 집콕 피서: 가장 편안한 피서지는 역시 '내 집'이다. 에어컨 풀 가동으로 시원한 집에서 영화나 드라마를 보거나, 낮잠을 자는 것이 최고의 휴식이 된다. (단, 전기세는 각오해야 한다.)
2. 더위를 이기는 '내 몸 관리' 팁 (먹고 마시고 입는 법)
아무리 시원한 곳에 있어도 내 몸 관리가 안 되면 소용없다. 몸 안팎으로 더위를 이기는 지혜가 필요하다.
2.1 충분한 수분 섭취: 갈증을 느끼기 전에 미리미리 물이나 이온 음료를 자주 마셔야 한다. 땀으로 배출되는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하여 탈수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2.2 시원한 음식 섭취: 냉면, 팥빙수, 아이스크림 등 시원하고 갈증을 해소해 주는 음식을 섭취한다. 그러나 너무 차가운 음식을 과도하게 먹으면 배탈이나 소화 불량이 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2.3 가볍고 통풍 잘 되는 옷차림: 땀 흡수가 잘 되고 통풍이 잘 되는 얇은 면 소재나 기능성 소재의 옷을 착용한다. 어두운색보다는 밝은색 계열의 옷이 햇빛을 덜 흡수하여 시원하다.
2.4 찬물 샤워 및 족욕: 미지근하거나 약간 찬물로 자주 샤워를 하여 체온을 낮춘다. 발의 피로를 풀고 체온을 낮추는 데는 족욕도 효과적이다. 오후 1시 경인데 벌써 난 3번 찬물 샤워....
3. 야외 활동 시 더위 피하는 팁 (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
더워서 실내에만 있을 수 없다면, 야외 활동 시 더위를 현명하게 피하는 방법을 숙지해야 한다.
3.1 활동 시간 조절: 가장 더운 시간대인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 사이의 야외 활동은 가급적 피해야 한다. 아침 일찍이나 저녁 늦게 활동하는 것이 좋다. 특히나 요즘 같은 경우는 밥 일찍 먹고 7시 이후에 공원 나가서 땀 흘리며 걷고 샤워하고 자는 패턴이 제일 좋은거 같다.
3.2 그늘 적극 활용: 야외에서는 햇볕을 직접 쬐는 것을 피하고, 나무 그늘이나 건물 그늘 등 시원한 그늘 아래에서 활동해야 한다.
3.3 자외선 차단 필수: 선크림을 꼼꼼히 바르고, 모자나 선글라스를 착용하여 직사광선을 피한다.
3.4 충분한 휴식과 수분 보충: 무리하게 활동하지 말고, 중간중간 충분히 쉬면서 물이나 이온 음료를 보충해야 한다. 어지럽거나 속이 메스꺼우면 즉시 시원한 곳으로 이동하여 휴식을 취한다.
3.5 물놀이 활용: 계곡, 바다, 수영장 등 시원한 물에서 활동하며 더위를 잊을 수 있다.
4. 폭염 속 '전기세' 잡는 팁 (에어컨 현명하게 쓰기)
더워 죽겠는데 전기세 걱정 때문에 에어컨을 못 켠다면? 현명하게 에어컨을 사용해서 전기세를 절약할 수 있다.
4.1 적정 온도 유지: 에어컨을 너무 낮게 설정하지 말고, 실내 적정 온도인 26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1도 올릴 때마다 전기요금이 약 7% 절약된다.
4.2 선풍기/서큘레이터와 함께 사용: 에어컨과 선풍기 또는 서큘레이터를 함께 사용하면 찬 공기가 실내에 골고루 퍼져 냉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4.3 실외기 관리: 실외기 주변에 장애물이 없도록 하고, 통풍이 잘 되게 관리한다. 실외기에 그늘막을 설치하여 직사광선을 피하게 하면 냉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4.4 문틈새 막기: 창문이나 문틈새로 냉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문풍지 등을 활용하여 밀폐력을 높인다.
폭염은 피할 수 없는 여름의 불청객이다. 그러나 위에 제시된 다양한 방법들을 현명하게 활용한다면, 건강과 안전을 지키면서 시원하고 즐거운 여름을 충분히 보낼 수 있을 것이다.
모두 더위 조심하고 건강한 여름을 보내길 바란다. 난 이제 가족들이랑 카페로 갈련다. 지금 보니 36도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