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국내외 주식 시장은 연일 고공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상승세 이면에는 언제 폭락할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공존한다. 나 역시 이러한 불안감으로 인해 최근 한달전 나스닥100,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추종 종목들을 전량 매도하고 현금 보유 비중을 높였다. ( 관련 글: 불안한 시장, 현금 보유 전략? ) 이러한 시기에 안정적인 투자처로서 미국 국채에 대한 관심이 자연스럽게 커진다. 미국 국채 투자의 성패는 미국 금리의 향방과 아주 밀접한 연관 관계를 가진다. 이에 지난 10년간의 미국 금리 정책 궤적을 복기하고 미래를 전망해 보려고 한다. 1. 미국 금리 정책의 기본: 연준의 역할과 연방기금금리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최대 고용과 물가 안정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통해 연방기금금리 목표 범위를 조절한다. 이 금리는 미국 금융 시스템의 기준점 역할을 하며, 경제 전반의 금리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쳐 소비와 투자를 조절하는 핵심 정책 도구이다. 2. 지난 10년의 궤적: 제로 금리부터 급격한 인상까지 지난 10년간의 미국 금리 정책은 글로벌 경제의 격변을 그대로 반영한다. 2015-2018년: 제로 금리의 시대, 그리고 점진적 정상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약 7년간 유지되었던 제로금리(ZIRP) 시대가 막을 내리고, 연준은 2015년 12월 첫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이후 2018년까지 고용 시장 개선을 바탕으로 점진적인 금리 인상 사이클이 이어졌다. 2019-2020년: 정책 선회와 코로나 팬데믹 충격 미중 무역분쟁과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로 연준은 2019년 금리 인하로 정책 방향을 선회했다. 그리고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전례 없는 위기 앞에서 연준은 기준금리를 다시 제로 수준으로 낮추고 대규모 양적완화를 단행했다. 2022-2023년: 인플레이션과의 전쟁, 역사적인 금리 인상 팬데믹 이후 공급망 문제와 수요 급증으로 인플레이션이 심각해지자, 연준은 2022년부터 ...
IT 트렌드, 스마트한 재테크 노하우, 그리고 일상 속 건강한 웰빙 라이프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