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주에 초등학교아들이랑 3박 4일로 제주도 여행 갈 예정이다. 이전 글에서도 써놨지만 제주 여행 준비사항 등은 미리 다 예약( 6월 제주도 여행 비용 및 준비물, 초6 아들놈과 3박4일! )을 했지만 날씨가 계속 걸린다. 그래서 여행 가기 전에 제주도 장마랑 태풍 역대 현황을 기상청 뒤져서 분석을 해 봤다. 지난 10년치 데이터를 싹 다 살펴봤으니, 제주 여행을 계획하는 분들은 이 글을 꼭 참고해 봐. 제주도는 우리 한반도 남쪽에 툭 튀어나온 섬이다. 그래서 여름만 되면 북태평양 고기압이나 장마전선, 그리고 열대성 저기압인 태풍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덕분에 고온다습하고, 집중호우와 강풍까지 동반하는 날씨가 아주 흔하지. 요즘은 기후 변화 때문에 이런 기상 현상들이 더 극단적으로 변하는 경향을 보이는거 같다. 2024년 여름엔 평균 폭염일수보다 4.3배나 많은 16.5일로 역대 1위를 기록했어. 이런 날씨 변수 때문에 제주 여행 계획하는 분들은 골치 아플 거야. 지난 10년(2015년~2024년) 제주도 장마랑 태풍 현황을 분석한 자료를 풀어볼 테니, 제주 여행 준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 1. 제주도 장마 현황 분석 (2015년~2024년 데이터 기반) 지난 10년치 제주도 장마 데이터를 보니까, 흥미로운 점들이 많았어. 장마 시작일: 평균적으로 6월 19일이었다. 가장 일찍 시작한 건 6월 10일, 가장 늦게 시작한 건 7월 5일이었어. 내가 6월 말에 제주도에 가니, 아마 장마가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크지.(오늘 뉴스 보니 금요일부터 장마란다. 킁~) 장마 종료일: 평균적으로 7월 20일이었다. 가장 일찍 끝난 건 7월 3일, 가장 늦게 끝난 건 8월 12일까지 이어지기도 했어. 장마 기간: 평균 32일이었는데, 짧게는 17일, 길게는 49일까지 이어진 적도 있었어. 총 강수량: 장마 기간 동안 평균 390.6mm 의 비가 내렸는데, 평년(348.7mm)보다 많은 양이다. 특히 2024년에는 역대 최다인 8...
IT 트렌드, 스마트한 재테크 노하우, 그리고 일상 속 건강한 웰빙 라이프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