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생산성인 게시물 표시

AI 회의록 요약 앱 (클로바노트, 다글로) 솔직 후기: 진짜 핵심은 '요약'이 아니다

회의, 회의, 회의...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회의록 작성의 고통을 알 것이다. 녹취를 풀고, 요점을 정리하고, 결정 사항과 담당자를 명기하는 과정은 지루하고 소모적인 일이다. 그래서 '클로바노트', '다글로'와 같은 AI 회의록 요약 서비스가 등장했을 때, 나는 구세주를 만난 것 같았다. 하지만 1년 정도 직접 사용해 본 결과, 나는 이 앱들의 진짜 가치가 '자동 요약' 기능이 아닌 다른 곳에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오히려 내장된 요약 기능은 2% 부족했다. 오늘은 내가 AI 회의록 앱을 200% 활용하는 나만의 방법을 공유한다. 1. AI 회의록 앱, 무엇을 해주는가? 클로바노트(다글로)와 같은 앱의 기본 기능은 강력하다. 음성 녹음 및 텍스트 변환: 회의 내용을 녹음하면, AI가 음성을 인식하여 대화 전체를 텍스트로 변환해 준다. 참석자의 목소리까지 구분해 주는 기능은 정말 놀랍다. 자동 요약 및 핵심 키워드 추출: 변환된 텍스트를 기반으로 AI가 회의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고, 핵심 단어를 추출해 준다. 여기까지 보면 완벽한 도구처럼 보인다. [클로바노트에서 음성 파일을 텍스트 변환한 모습] 2. '자동 요약' 기능의 아쉬운 현실 처음에는 신기했지만, 몇 번 사용해 보니 내장된 '자동 요약' 기능은 결정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AI가 만든 요약본은 회의의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나에게 정말 필요한 핵심을 짚어주지는 못했다. 예를 들어, AI는 회의의 모든 주제를 공평하게 요약하지만, 나는 'A 프로젝트의 다음 주 실행 계획'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알고 싶을 수 있다. AI는 회의의 뉘앙스나, 우리 팀만 아는 중요한 배경지식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결국 내가 다시 읽고 정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3. 진짜 핵심 가치: '완벽한 텍스트 스크립트' 확보 몇 번의 실망 끝에 나는 깨달았다. 이 앱의 진짜 가치는 어설픈 ...

구글 검색 100% 활용 팁: 검색 연산자 사용법 (" ", site:, filetype:)

요즘 아무리 ChatGPT, Gemini 같은 생성형 AI가 대세라고 하지만, 나는 여전히 정보 검색의 최종 단계에서는 구글을 찾는다. AI가 요약과 창작에는 뛰어나지만, 정보의 정확성이나 출처의 신뢰도, 그리고 자료의 다양성 측면에서는 아직 검색엔진을 따라오지 못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구글이라는 강력한 도구를 너무 단순하게 사용한다는 점이다. 단순히 단어 몇 개를 나열하는 검색은, 슈퍼컴퓨터로 덧셈만 하는 것과 같다. 이 글은 간단한 '검색 연산자' 몇 가지만으로도 정보 검색의 질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알아본다. 1. "" (큰따옴표): 정확히 일치하는 단어/문장 검색 가장 기본이면서 가장 강력한 기능이다. 검색하려는 단어나 문장의 양쪽에 큰따옴표를 붙이면, 구글은 해당 단어나 문장이 정확히, 그리고 순서까지 똑같이 포함된 페이지만 찾아준다. 상황: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에 대한 공식 안내를 찾고 싶을 때 일반 검색: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등의 단어가 흩어져 있는 블로그 글, 뉴스 기사까지 모두 검색된다. 연산자 사용: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 저 문장이 정확히 포함된 국세청 공지사항이나 공식 가이드 문서가 검색 결과 상단에 노출될 확률이 매우 높다. 2. site: (사이트): 특정 웹사이트 내에서만 검색 정부 기관이나 대학교, 특정 뉴스 사이트처럼 방대한 자료가 있지만 자체 검색 기능이 부실한 곳에서 사용하면 엄청난 위력을 발휘한다. 상황: KDI(한국개발연구원) 웹사이트에서 '2025년 경제 전망' 관련 보고서를 찾고 싶을 때 일반 검색: KDI 2025년 경제 전망 → KDI 홈페이지뿐만 아니라, KDI 보고서를 인용한 수많은 뉴스 기사와 블로그 글이 함께 검색되어 혼란스럽다. 연산자 사용: site:kdi...

노트북LM(NotebookLM) 활용법(ChatGPT와는 다른 AI 기반 연구 비서 챗봇)

ChatGPT는 이제 많은 사람이 아는 AI 챗봇이다. 하지만 **노트북LM(NotebookLM)**이라는 이름은 아직 생소한 사람들이 많을 거다. 이 AI 도구는 단순한 챗봇을 넘어, '나만의 AI 연구 비서' 역할을 수행한다. 방대한 인터넷 정보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ChatGPT와 달리, 노트북LM은 사용자가 직접 제공하는 자료를 기반으로 작동 한다는 점에서 차별점을 가진다. 본 글은 노트북LM의 개념과 등장 배경을 제공하고 더불어 많은 사람이 익숙한 ChatGPT와 노트북LM이 가진 핵심적인 차이점을 살펴보려고 한다. 노트북LM의 주요 기능과 실제 활용법을 상세히 설명하며, 자료 분석, 글쓰기, 아이디어 정리 등 정보 과부하 시대에 생산성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글을 시작해본다. 1. 노트북LM / NotebookLM, 대체 무엇인가?  노트북LM은 **구글에서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의 '연구 및 글쓰기 도우미'**이다. 이 도구는 사용자가 직접 제공하는 자료(소스 자료)를 분석하고 이해하여, 해당 자료를 기반으로 요약, 질의응답, 아이디어 제안, 글쓰기 초안 작성 등을 수행한다. 등장 배경: 기존 AI 챗봇의 가장 큰 한계 중 하나는 **'정확한 정보 출처 제시의 어려움'**과 **'환각 현상(Hallucination) 위험'**이다. 또한 사용자가 가진 특정 자료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그에 기반하여 대화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노트북LM은 이러한 지점을 보완하고자 탄생하였다. 사용자가 직접 업로드한 자료(문서, 웹페이지 등)를 AI가 학습하여, 그 자료의 맥락 안에서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답변을 제공하는 데 강점을 가진다. 2. ChatGPT와 노트북LM 차이점 ChatGPT와 노트북LM은 모두 AI 기반의 언어 모델 도구이지만, 그 정보 출처와 주요 활용 목적에서 명확한 차이를 보인다. 2.1 정보 출처의 차이 ChatGPT: 방대한 웹 데이터 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