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주식용어인 게시물 표시

주식 용어 PER, PBR, ROE: 이것 모르면 테마주만 쫓게 된다

나는 노후 대비를 위해 ETF와 해외 주식에 투자하고 있다. 하지만 솔직히 고백하자면, 기업의 튼실함(펀더멘털)보다는 시장의 유행이나 테마에 편승하는 투자를 할 때가 많았다. '이차전지가 좋다더라', 'AI가 대세라더라' 하는 이야기에 귀가 솔깃해지는 것이다. 이런 투자는 운이 좋으면 큰 수익을 주지만, 언제 폭락할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떨칠 수 없다. 그래서 혹시나 나 같은 사람들을 위해, 아울러 나 또한 초심으로 돌아가고자 현재 '테마주 사냥꾼'에서 벗어나, 기업의 진짜 가치를 보고 투자하는 법을 공유하기로 한다. 그 첫걸음이 바로 기업 가치를 판단하는 가장 기본적인 언어, PER, PBR, ROE 를 이해하는 것이다. 1. PER (주가수익비율): 이익 대비 주가가 싼가? PER(Price Earnings Ratio)는 **회사가 벌어들이는 이익 대비 주가가 얼마나 저렴한지(혹은 비싼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쉬운 비유: 1년에 순이익 1억 원을 버는 붕어빵 가게가 있다고 하자. 이 가게를 10억 원에 인수한다면 PER은 10배다. 즉, 현재의 이익 수준을 유지한다면 투자 원금을 회수하는 데 10년이 걸린다는 의미다. 만약 이 가게를 5억 원에 인수했다면 PER은 5배로, 더 저렴하게 산 셈이다. 해석: 일반적으로 PER이 낮을수록 기업이 버는 이익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고 본다. 하지만 IT 기업처럼 미래 성장성이 높은 산업은 PER이 높고, 은행이나 철강처럼 성장이 정체된 산업은 PER이 낮은 경향이 있으므로 반드시 같은 산업 내의 기업들과 비교 해야 한다. 2. PBR (주가순자산비율): 회사가 망해도 이만큼은 받는다? PBR(Price Book-value Ratio)은 회사의 순자산(자산-부채) 대비 주가가 얼마나 저렴한지 를 나타내는 지표다. 쉬운 비유: 위 붕어빵 가게의 모든 자산(가게, 기계, 재료 등)을 다 처분하니 5억 원이 남았다. 이것이 이 가게의 '순자산'이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