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SCHD인 게시물 표시

SCHD(슈드) 분석: SPY, QQQ보다 수익률이 아쉬운 이유 (그래도 투자해야 하는가?)

나는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일명 '타미당'에 적립식으로 투자하고 있다. 미국 SCHD(일명 슈드) ETF의 한국판으로, 안정적인 배당 성장을 기대하며 꾸준히 모아가는 중이다. 하지만 SPY나 QQQ의 폭발적인 상승세를 볼 때마다, 내 계좌의 수익률은 어딘가 모르게 애매하게 느껴지는 것이 사실이다. 최근 시장이 반등하며 수익률이 다소 회복되기는 했지만, 이 ETF를 계속 모아가는 것이 맞는지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게 되었다. 그래서 이 글은 SCHD의 본질을 제대로 파악하고 나의 투자 전략을 재점검하기 위해 작성한다. 1. SCHD, 대체 어떤 ETF인가? SCHD(Schwab U.S. Dividend Equity ETF)는 단순히 배당수익률이 높은 기업에 투자하는 ETF가 아니다. 이 ETF의 핵심 목표는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를 추종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기업들을 선별한다. 높은 배당수익률: 기본적으로 배당수익률이 높은 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지속적인 배당 성장: 최소 10년 이상 꾸준히 배당금을 지급한 이력이 있어야 한다. 재무적 건전성: 부채 대비 현금흐름, 자기자본이익률(ROE) 등 강력한 펀더멘털을 기준으로 기업을 평가한다. 즉, SCHD는 '재무적으로 튼튼하고, 꾸준히 배당을 늘려온 우량 기업' 100개에 분산 투자하는 상품이다. 2. 수익률, 왜 SPY/QQQ에 뒤처지는가? SCHD의 지난 10년 연평균 총수익률은 약 11.1%로, '대형 가치주' 카테고리 평균을 상회하는 훌륭한 성과를 냈다. 하지만 기술주 중심의 성장 시대였던 지난 10년간 S&P 500(SPY) 지수의 총수익률에는 소폭 미치지 못했다. 그 이유는 포트폴리오 구성에서 명확히 드러난다. SCHD의 상위 보유 섹터는 산업재, 금융, 헬스케어, 필수소비재 등 전통적인 가치주들이 차지한다. 반면, 지난 10년간 시장을 이끌었던 기술주(Technolog...

국내상장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분석: 꾸준한 배당과 투자 전략

은퇴 후에도 고정적인 현금 흐름을 확보하는 것은 많은 사람들의 재정 목표이다. 특히 인플레이션 시대에 자산의 실질 가치를 방어하고 안정적인 노후를 준비하는 데 배당 투자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국 시장은 이러한 배당 투자의 매력적인 대안을 제공하며, 국내에 상장된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는 이러한 흐름을 반영한다. 본 글은 국내 상장된 미국배당다우존스 ETF의 개념과 특징을 분석한다. 더불어 미국 배당주 ETF의 대표격인 **SCHD(Schwab U.S. Dividend Equity ETF)**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두 상품의 주요 장점과 투자 전 반드시 고려해야 할 단점 및 리스크 요인을 써볼려고 한다. 나 역시 이 ETF에 꾸준히 투자하고 있는 상황으로, 본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해당 ETF의 효과적인 활용 전략을 제시한다. 이는 안정적인 배당 수익과 장기적인 자산 성장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1.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개념: 미국배당다우존스 ETF는 미국 주식 시장에서 배당금을 꾸준히 지급하고 성장시켜 온 기업들을 선별하여 투자하는 지수 추종형 상장지수펀드(ETF)이다. 즉, 개별 기업을 직접 고르지 않고도, 배당 우량 기업 바구니에 분산 투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수 구성: 이 ETF는 주로 다우존스 US Dividend 100 지수 를 추종한다. 이 지수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기업을 선정한다. 배당 성장 이력: 최소 10년 이상 배당금을 꾸준히 늘려온 기업들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재무 건전성: 배당을 지속 가능하게 지급할 수 있는 견고한 재무 상태를 가진 기업을 선정한다. 시가총액 및 유동성: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이면서, 시장에서 활발하게 거래되는 기업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준을 통해 선별된 약 100개 내외의 우량 기업에 투자하는 구조이다. 국내 상장 이점: 미국 시장에 직접 투자하는 것과 달리, 이 ETF는 국내 증권사에서 원화로 매매할 수 있다. 이는 복잡한 해외 계좌 개설 절차나 환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