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보통 ETF에 투자할 때, 어떤 지수를 추종하는지(S&P 500, 나스닥 100 등), 어떤 테마를 담고 있는지(반도체, 이차전지 등)를 보고 투자를 결정한다. 하지만 "자산운용사가 과연 어떤 방식으로 그 지수를 추종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깊이 생각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ETF가 특정 지수를 따라가는 방법, 즉 '복제 방법'에는 크게 '실물복제' 와 '합성복제'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이 둘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내가 투자하는 ETF의 투명성과 숨겨진 리스크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1. 실물복제 (Physical Replication): 정직하게 전부 다 사는 방식 '실물복제'는 이름 그대로, ETF가 추종하는 지수를 구성하는 모든 종목을 실제로 매수하여 펀드에 담는 방식이다. 쉬운 비유: 'KOSPI 200' 지수를 추종하는 실물복제 ETF라면, KOSPI 200을 구성하는 200개 기업의 주식을 지수 내 비중과 동일하게 실제로 모두 사서 보유하는 것이다. '과일 바구니' 레시피(지수)를 받아서, 레시피에 적힌 대로 사과 2개, 배 3개, 딸기 5개를 직접 장바구니(ETF)에 담는 것과 같다. 실제 예시: KODEX 200: KOSPI 200 지수를 추종하는 가장 대표적인 실물복제 ETF다. TIGER 미국S&P500: S&P 500 지수를 추종하기 위해, 해당 지수에 포함된 약 500개의 미국 기업 주식을 실제로 사서 담는 실물복제 ETF다. 장점: 직관적이고 투명함: ETF가 어떤 주식들을 실제로 보유하고 있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어 매우 직관적이고 투명하다. 낮은 거래상대방 위험: ETF가 실물 자산을 직접 보유하고 있으므로, 증권사나 은행 등 제3의 금융기관이 파산하더라도 내 자산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다. 가장 안전한 방식이다. 단점: 추적오차 발생 가능성: 지수를 구성하는 모든 종목을 ...
IT 트렌드, 스마트한 재테크 노하우, 그리고 일상 속 건강한 웰빙 라이프 이야기